아이를 출산하는 것은 큰 행복과 기쁨이지만, 한편으로는 아이를 위해 쏟는 에너지와 비용 때문에 주변에서 출산에 대한 고민을 많이 하십니다. '집도 못 샀는데, 아이를 낳기에는 이르지 않은가?'라는 생각이 일반적인 요즘입니다. 굉장히 슬픈 생각이지만, 이겨낼 수 있습니다! 이번엔 정부 지원 중 하나인 "신생아 특례 버팀목 대출과 디딤돌 대출"에 대해 알려드릴게요, 같이 보실래요?
신생아 특례 버팀목 대출과 디딤돌 대출
1-1) 신생아 특례 버팀목 대출이란?
"23년도 이후 출생아가 있는 가정을 위한 정부 혜택으로 전세자금을 낮은 금리로 대출"해 주는 것입니다. 아이를 출산하여 신경 쓸 것도 많은데, 전세자금으로 큰 비용이 소비되면 속상하죠. 신생아 특례 버팀목 대출로 대출 이자 아껴보도록 합시다.
1-2) 신생아 특례 버팀목 대출 해당 자격/대상 주택/대출 한도 알아보자
① 버팀목 전세대출 신청 자격
계약자가 성년인 가구
연 소득이 1.3억원 이하인 가구
주택 관련 중복 대출이 없는 가구
무주택자인 가구(세대주, 세대원 모두)
공공임대주택에서 살고 있지 않은 가구
은행 기준에서 대출 신용이 부합하는 가구
총자산 3.45억 원 이하인 가구 (2024년도 기준)
대출신청일 기준 2년 이내로 출생아 또는 입양아가 있는 가구
주택 임대 계약을 완료했고, 보증금의 5% 이상을 집주인에게 지불한 가구
② 버팀목 전세대출 대상 주택
서울/경기/인천 등 수도권은 85㎡(25평), 가평/청평 등 읍 또는 면 지역은 100㎡ (30평)이하만 해당합니다. 그리고, 전세 보증금은 지역에 따라 서울/경기/인천 등 수도권은 5억 원, 수도권 외 읍 또는 면 지역은 4억원인 집으로 한정됩니다.
③ 버팀목 전세대출 지원 금액
국가에서는 최대 3억원 이내로 전세자금을 지원합니다. 단, 전세금의 80%까지만 가능합니다.
예를 들어, 수도권에서 최대 3억 원의 대출을 받는다고 가정했을 때, 3.75 ~ 4억원 이내의 전셋집을 구해야겠죠?
(대출 지원 최대 가능액 = 3.75억 원 * 80% = 3억 원)
1-3) 대출 금리 알아보자
대출 금리는 부부 합산 연 소득에 따라 달라지는데, 최저 1.1~ 최대 3.0%
예를 들어, 부부 합산 소득이 8천만 원이고, 전세가 3억 원인 아파트에 들어가고 싶은 경우 월 대출 이자는 다음과 같습니다.
대출 가능 금액 = 3억 원 * 80% = 최대 2.4억 원
대출 금리 = 연 2.65%
월 대출 이자 = 2.4억 원 * 2.65% ÷ 12개월 = 최대 530,000원/월
2-1) 신생아 특례 디딤돌대출이란?
신생아라는 말 그대로 "아이를 출산한 가정을 위해 좋은 혜택으로 주택구입 자금을 대출"해 주는 국가 지원 사업입니다. 아이 계획과 주택 구입을 같이 계획하고 계신 분이라면, 한번 눈여겨볼 만한 혜택인 것 같습니다.
2-2) 지원 한도와 금리 알아보자
대출 한도는 최대 5억원 이내이며, 대출 금리는 최저 1.6 ~ 최대 3.3%
숫자로 계산해 보겠습니다.
예를 들어, 집을 구매하기 위해 최대 5억 원의 대출을 했다고 가정할게요.
일반대출 : 5억 원 * 5% ÷ 12개월 = 2,083,333원/월
신생아 특례 대출 : 5억 원 * (1.6 ~ 3.3%) ÷ 12개월 = 666,666 ~ 1,375,000원/월
대략 최저 34% ~ 최대 68%까지의 혜택이 있네요!
위 내용은 일반 대출 금리를 5%라고 가정했을 경우지만, 금리가 더 높다면, 더욱 큰 혜택인 것 같습니다.
2-2) 신청 자격과 해당 내용 차근차근 한번 알아보자
① 대출 신청 자격
집을 소유하지 않은 사람
대출할 수 있는 신용을 가진 사람
합산 소득이 연간 1.3억 원 이하인 부부
주택 관련 대출을 이용하지 않고 있는 사람
2024년도 기준 순자산 4.69억 원 이하인 부부
대출신청일 기준 2년 이내로 아이를 출산(입양)한 사람
주택을 구매하기 위 구매 계약을 체결한 사람 (만 19세 이상)
② 대상 주택
면적 관련 수도권은 85㎡(25평), 수도권이 아닌 읍 또는 면 지역은 100㎡ (30평) 이하만 해당합니다. 또한, 대출 접수 당시, 구입 주택의 평가 금액이 9억 원 이하인 주택만 해당합니다.
③ 대출 지원 금액
최대 5억 원까지 주택구입 자금 대출이 가능합니다.
(단, LTV 70%, 생애 최초 주택 구매자는 LTV 80%, DTI 60% 이내)
DSR, LTV, DTI에 대해 알아보고 싶다면? 아래 링크를 참고해 주세요!
[부동산] 알아두면 편리한 DSR/DTI/LTV/원리금균등상환/원금균등상환/만기일시상환 계산방법
전세 및 주택 구입 관련 주제로 블로그를 작성하다 보니 이해하기 어려운 용어 좀 있어서, 제가 이해하고 풀어서 해석해 드리려 합니다. DSR, DTI, LTV 등 알아야 할 용어도 많고, 헷갈리시죠. 하지
pilsogooood.tistory.com
'생활 정보 > 금융, 경제 생활 정보' 카테고리의 다른 글
국민내일배움카드로 "300만원" 혜택 받자! 신청 자격 및 사용 방법 총 정리! (0) | 2024.03.10 |
---|---|
"청년주택드림 청약통장"으로 내 집 마련하기! (1) | 2024.03.06 |
알고 내자! "고용보험, 산재보험" 4대 보험 총 정리 2탄 (0) | 2024.03.05 |
알고 내자! "국민연금, 건강보험" 4대 보험 총 정리 1탄 (0) | 2024.02.24 |
알아두면 편리한 "DSR, DTI, LTV, 원리금균등상환, 원금균등상환, 만기일시상환" 한 번에 정리! (0) | 2024.02.22 |
전월세 혜택 총정리 2탄 "신혼부부전용 전세자금 대출, 청년전용 버팀목 대출"로 혜택받자! (0) | 2024.02.20 |
전월세 혜택 총정리 1탄 "자립준비청년 전세임대, 중소기업 취업청년 전월세 보증금 대출" 알아보기 (0) | 2024.02.17 |
쉽게 따라할 수 있는 고정비 연 50만원 아끼기/OTT서비스/음악어플/통신비 (0) | 2024.02.16 |